보도 자료

CGN의 보도 자료를 확인해 보세요.
보도자료
기독 다큐 영화 ‘무명 無名’ 하정우 내레이션 참여!
2025.04.17

내한 선교 140주년, 광복 80주년,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2025년 6월 25일 개봉!

배우 하정우가 내레이션을 맡은 다큐 영화 ‘무명 無名’이 6월 25일 개봉을 확정했다. 다큐 영화 ‘무명 無名’은 암흑과 같았던 일제 강점기, 고통 가운데 있던 조선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 찾아온 무명(無名)의 선교사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조선을 사랑하였고 조선인들이 사랑하였기에 국적과 민족을 넘어 오직 예수의 사랑만 남긴, 그 누구도 몰랐던 일본인 선교사들의 이야기가 놀라움과 함께 커다란 감동을 선사한다.

‘무명 無名’은 인터뷰 등 자료화면과 재현 드라마가 융합된 다큐 영화로 한국에서도 일본에서도 잊힌, 이름 없는 선교사들의 생생한 발자취를 2년의 시간 동안 따라간다. 최근 영화 ‘로비’의 감독이자 배우로 맹활약한 배우 하정우가 내레이션을 맡아 차분하고 진실성 넘치는 목소리로 관객들을 이끈다.

역대 한국 기독교 다큐멘터리 2위, 누적관객 약 12만 명을 기록한 ‘서서평, 천천히 평온하게’ 이후 8년 만에 CGN이 선보이는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로, 하정우는 ‘서서평, 천천히 평온하게’에 이어 또다시 내레이션으로 함께했다.

2025년은 광복 80주년과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는 해이자, 을사늑약 120주년, 을미사변 130주년, 아펜젤러와 언더우드의 내한선교 140주년, 영화의 주인공인 오다 목사가 시무한 교토교회 100주년이 되는 기념비적인 해이다. 한일 국민들이나 기독교인들에게는 더욱 특별한 2025년을 맞아 다큐 영화 ‘무명 無名’은 복음 안에서 두 나라의 가교가 되었던 두 선교사의 숨겨진 역사를 다룬다.

노리마츠 마사야스(乘松雅休)(1863-1921)는 조선인보다 더 조선을 사랑한 일본 개신교 최초의 선교사다. 고통 가운데 놓인 조선의 현실을 듣고 ‘하나님’이라는 조선어 한 마디만을 배워 1896년 조선으로 건너왔다. 수원지역 복음화에 앞장서며 수원 최초의 교회(現 수원 동신교회)를 세운다.

한국 이름 ‘전영복’으로 불렸던 한복 입은 일본인 오다 나라지(織田楢次)(1908-1980)는 독실한 불교 집안에서 승려의 길을 걸었으나 우연히 기독교를 접하고 깊은 회심 끝에 전도자가 되었다. 이후 당시 가장 복음이 필요한 땅, 조선에서 조선말로 복음을 전한다. 일본인이란 이유로 배척받았지만, 육천 명이 넘는 조선인이 모인 평양 숭실대학교 강당에서 “신사참배가 종교 행위가 아닌 국민의례라는 소리는 거짓말”이라고 용감하게 외친다.

한일 관계와 기독교 선교역사에 특별한 의미를 지닌 해에 ‘무명 無名’은 역사의 아픔을 넘어 평화와 화해를 향한 진정한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다. 한국 기독교 다큐멘터리 영화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무명 無名’은 6월 25일 전국 롯데시네마에서 개봉한다.

▪영화정보

제목: 무명

감독: 유진주

내레이션: 하정우

장르: 감동 다큐 영화

제작: CGN

배급: 커넥트픽쳐스

개봉: 2025년 6월 25일

▪줄거리

“나는 조선과 조선인을 사랑하는 일본인 선교사입니다”

1896년, 노리마츠는 조선에서 온 한 남자로부터 조선의 국모가 일본인에게 살해당했다는 소식을 전해 듣는다. 일본인으로서의 죄책감을 가진 그는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암흑과 같은 시기를 보내던 조선 땅으로 향한다. 그로부터 수년 후, 노리마츠의 정신을 이은 또 한 명의 일본인이 여전히 예수가 필요한 곳, 조선으로 향하는데…. 오직 복음만 전한, 이름 대신 예수의 사랑만 남긴 선교사들의 이야기를 만난다.

“세상의 방법과 다른 선교미디어, CGN”

스무 살, 청년이 된 CGN은 다윗이 물맷돌을 들고 골리앗에 맞서 싸웠던 것처럼, ‘복음’과 ‘용서’, ‘사랑’을 담은 콘텐츠를 가지고 세상의 한복판으로 들어갑니다. CGN 20주년 특집 다큐 영화 ‘무명 無名’이 더 많은 사람을 만나 세상 가운데 온전한 복음의 능력을 나타낼 수 있도록, 많은 기도와 후원을 부탁드립니다.